호구라는 입구

2023. 5. 1. 00:00당신의 주파수

당신의 주파수 20230506

호구라는 입구

 

정끝별

 

 

        범고래들이 백상아리를 몰아간다

 

     한 범고래가 주둥이로 백상아리를 밀어 올리고

다른 범고래가 강철 이빨로 백상아리 옆구리를 물어뜯는다 

또 다른 범고래가 빠져나온 백상아리 간을 삼킨다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이 백상아리는 며칠 전 

              잭나이프 턱과 톱니 이빨로 물범을 반 토막 냈고 

       놀란 눈에 반 토막 나 도망치는 물범을 쫓아가 

커다란 아가리를 벌려 남은 반 토막 물범을 삼켰다

 

   말이 나왔으니 말이지 반 토막 난 물범도 그렇게

작은 펭귄을 송곳니로 물고 내동댕이치고 뜯어먹었다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허공을 빙빙 돌던 도둑갈매기도 

작은 펭귄을 발톱으로 낚아채 부리로 쪼아먹었다 그렇다고 

 

작은 펭귄이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가엾고 귀엽기만 한 건 아니다 

 

제 자리를 지키려 바다로 새끼 펭귄을 밀어뜨리고 

     바다에 뛰어들 때면 앞선 펭귄을 밀어뜨리고

 

     바다에 뛰어들어서는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물고기와 크릴새우를 잡아먹는다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물고기와 크릴새우는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더 작은 물고기 떼나 플랑크톤을 찾아 

       바닷속을 샅샅이 헤치고 다닌다 

 

           범고래에서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플랑크톤까지 

   

그중 하나가 

               목소리 높여 정의를 외치는 너이거나 

           다정한 마음을 가졌다고 믿는 나이다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인간답다 안도하며

 

그중 하나로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튀어나온 입을 내밀고 달아나거나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끝 모를 입을 벌리고 달려간다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식구라 우기며 

 

그게 다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우리가 지나온 문이었을 것이다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반 토막 난 마음에 대문니를 앞세우고

 

 

 

시작노트

환취처럼 타는 냄새나 피 냄새에 휩싸일 때가 있다. 내 안에 숨겨진 파괴성과 육식성의 발현이 아닐까 싶어 내가 무서워질 때다. 누군가 혹은 그 무엇에게 당한 내 상처에서 나는 냄새일 때 세상이 무서운 건 당연하지만.
자주 물리곤 하는 내가 때로 무는 존재이기도 하고, 물어뜯는 데 능한 너도 누군가 혹은 그 무엇에게는 물어뜯기기 마련이다. 이 간단한 사실을 자주 잊고 산다. 인간을 앞세운, 포악한 정의나 가엾은 다정을 우리가 경계해야 하는 이유다.
범고래에서부터 플랑크톤까지, 그 어디쯤, 팔 하나를 물린 채 대문니를 쩍 벌린, 내가 있다.

 

 

정끝별 | 1988년 『문학사상』 신인상 시부문에 「칼레의 바다」외 6편의 시가, 199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평론부문에 「서늘한 패러디스트의 절망과 모색」이 당선되어 시쓰기와 평론활동을 병행하고 있다. 시집으로 『자작나무 내 인생』, 『흰 책』, 『삼천갑자 복사빛』, 『와락』, 『은는이가』, 『봄이고 첨이고 덤입니다』 등이 있다. 

'당신의 주파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어떻게 지내, 안녕, 이렇게 시작하는 글  (0) 2023.07.01
트랙B ― 좋은 사람  (0) 2023.05.01
요새  (0) 2023.05.01
구정  (0) 2023.05.01
[특별기획] 10.29  (0) 2023.03.09